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연구위원 칼럼] 미래의 해양강국

미래의 해양강국  


[여의나루]  파이낸셜뉴스  2016년 01월 15일자 31면 


최근 수년간 난사군도, 조어도 등 해양관할권을 둘러싼 미·중·일의 힘겨루기는 해양영토에 관한 국제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한·중 간에도 '해양경계획정회담'이 개최돼 한 치의 양보 없는 협상이 시작됐다. 해양영토 문제의 중요성이 다시금 국민의 주목을 받고 있다.

역사적으로 인류는 해양을 통해 생존과 번영을 추구하고 프런티어 정신을 키워왔다.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해양개발'을 정보통신, 우주개발, 생명공학과 함께 제3의 물결을 주도할 4대 핵심 산업으로 언급했다. 무적함대의 스페인, 해양력과 산업혁명을 바탕으로 해가 지지 않던 대영제국 등 세계 문명의 중심은 대부분 해양국가였다. 신라시대 해상왕 장보고는 뛰어난 해상경영 마인드를 통해 동북아 무역을 주도하고 해양세력 강화에 중추적 역할을 했다. 최근 중국에서도 콜럼버스 이전 14세기에 대항해를 했던 정화에 대한 바람이 불고 시진핑 주석이 '일대일로'와 해상실크로드 프로젝트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해양에는 지구의 71%에 달하는 면적과 생물종의 80%에 해당하는 1000만종이 서식한다. 특히 다양한 광물과 조류·조력·파력 등 에너지자원이 부존되어 고갈돼가는 육상자원의 대체 공급원으로서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자원개발과 더불어 해양의 보존 역시 인류가 안고 있는 긴요한 과제다. 지난해 말 종료된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는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국제적 합의가 이뤄졌다. 이와 함께 해양의 기후조절능력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일명 '블루카본'으로 불리는 해양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지구 이산화탄소의 약 93%를 해양 퇴적층에 묻어두는 기능을 지니고 있으며, 연안역에서 흡수되는 이산화탄소는 열대우림의 2~10배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해양 경제영토 확장, 자원 개발과 보존을 위한 세계 각국의 노력에서 가장 두드러진 관심사는 해양과학기술력 확보다. 나라마다 해양개발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해양의 특수성으로 많은 제약이 따른다. 해양은 육상과 달리 수심에 따라 수압이 높아지고, 해수 때문에 재료가 부식하고, 생물부착으로 관측기기의 기능이 저하되며 빛이 멀리까지 도달치 못해 광범위한 관찰이 불가능하고, 전파의 기능에도 한계가 있어 정보 전송에 많은 제약이 있다.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투자가 소요되며, 실패 위험이 높아 장기적인 계획과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우리는 조선·해운 분야에서 세계적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정보기술(IT) 강국으로서 첨단 해양과학기술을 개발하는 데 충분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그간 다른 선진국에 비해 부족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심해무인잠수정, 남극 제2기지, 쇄빙연구선, 정지궤도 해양관측위성 등의 연구인프라 구축과 선박평형수 정화기술, 수중무선통신, 바이오수소 생산 등의 신기술을 개발한 바 있다. 

작년에는 세계 해양대통령으로 불리는 국제해사기구(IMO) 사무총장을 배출했으며, 쇄빙선 아라온호가 남극에서 좌초된 외국 선박과 우리 원양어선을 구조하는 등 해양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

해양력 강화는 각종 해양관련 산업의 전후방 효과를 통해 일자리 창출과 함께 경제성장, 나아가 미래의 먹거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바다를 알고자 하는 것은 단순한 호기심 때문이 아니라 거기에 우리의 생존이 걸려 있기 때문"이라고 역설했던 미국 케네디 대통령의 앞선 생각이 지금 절실히 다가온다.

2016년 새해가 우리나라 해양의 미래를 훤하게 밝혀주는 도약의 큰 전환점이 됐으면 하는 것은 필자만의 느낌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바람이리라.

김성진 전 한경대학교 총장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경제와정의포럼] 정치경제철학 특별포럼: 장하준과 피케티의 경제발전과 불평등

 [경제와정의포럼] 정치경제철학 특별포럼 장하준과 피케티의 경제발전과 불평등 일시: 2024년 9월 3일 오후 3:00-6:00 장소: 서울대 중앙도서관 관정관 양두석홀  온라인: https://snu-ac-kr.zoom.us/j/8347538162 주최: 경제와정의포럼(서울대 분배정의연구센터) 서울대 연합전공 정치경제철학연합 한국사회과학회 프로그램 전체사회: 한재준(인하대) 개최사: 주병기(경제연구소 분배정의연구센터장) 축사: 김성진(전해수부장관) [제1부, 15:20 - 16:50] 사회: 한재준(인하대) 한국의 경제발전과 불평등 by 장하준(SOAS 런던대) [패널토론]  좌장: 송수영(중앙대) 패널: 고길곤(서울대), 손종칠(한국외대)  [제2부, 17:00-18:00] 사회: 유종성(연세대) Global inequality and redistribution: A histo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 by 토마스 피케티(파리경제대) [패널토론] 좌장: 유종성(연세대) 패널: 주병기(서울대), 하은영(Eunyoung Ha, California State University, Sacramento)

<애덤 스미스 경제학, 자연적 자유와 정의> 발간 기념 [정치경제철학 워크숍] 국가는 왜 번영하는가

   <애덤 스미스 경제학, 자연적 자유와 정의> 발간 기념 [정치경제철학 워크숍] 국가는 왜 번영하는가 일시: 2025년 4월 4일 금요일, 오후 01:20-04:40 장소: 223동[우석경제관] 405호 온라인 줌주소 https://snu-ac-kr.zoom.us/j/8347538162 주최: 서울대학교 분배정의연구센터, 서울대학교 연합전공 정치경제철학 [프로그램] 축사: 이근 교수(한국경제학회장) 환영사: 김영식 교수(서울대) 사회: 신호철 박사(서울대) Session I [13:30-14:30] 기조 강연 애덤 스미스 경제학: Humanomics와 정치철학의 관점  by 김광수 교수(성균관대) Q&A Floor Break Session II [14:40-16:40] 주제발표   좌장: 이명헌 교수 (인천대) 1. 애덤 스미스의 법 경제학 by 김자봉 선임연구위원 (한국금융연구원) 2. 애덤 스미스가 한국에 온다면: 정부와 재정 이야기 by 류덕현 교수(중앙대) 3.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현대 경제학 vs. 애덤 스미스 by 주병기 교수(서울대) 종합토론 좌장: 홍기현 명예교수(서울대) 김진방 교수(인하대) 주동률 교수(한림대) 최정규 교수(경북대) *자료집: 다운로드

[동반성장 공동심포지엄] 함께 성장하고 공정하게 분배하는 한국경제 : 동반성장의 정책과 전략

   [동반성장 공동심포지엄]  함께 성장하고 공정하게 분배하는 한국경제 : 동반성장의 정책과 전략 *행사사진 보기 *행사영상 보기 - 일시 : 2025년 3월 28일 (금) 오후 3:00 ~ 6:00 - 장소 : 은행회관 14층 세미나실   주제 : 함께 성장하고 공정하게 분배하는 한국경제: 동반성장의 정책과 전략 개회사: 김자봉 (은행법학회 회장) 축사:  주병기 (서울대학교 분배정의연구센터장) 인사말 : 정운찬 (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 진행사회 : 홍정민 변호사 (법무법인 여울 발제   1. 성장전략으로서의 동반성장 - 하준경 (한양대)   2. 기술탈취 방지와 이익공유제 - 강경훈 (동국대) & 김영식(서울대)   3. 정의로운 전환 - 주병기 (서울대)   4. 동반성장과 법제도 - 김자봉 (금융연구원) & 최승필 (한국외대) 종합토론   - 좌장: 김진일 (고려대)   - 패널: 강형구(한양대), 김희삼(광주과기대), 박희경(재단법인 경청),             이동주(중소벤처기업연구원, 조성익(KDI) 주최  : 동반성장연구소, 은행법학회, 서울대분배정의연구센터 *자료집 다운로드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