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분배정의 포럼] 한국의 소득 불평등과 사회통합




분배정의 forum


한국의 소득 불평등과 사회통합

2016년 12월 22일 목요일
오후 3:00-5:30

장소: 사회과학대학 16동 349호 국제회의실
주최: 서울대 경제연구소 분배정의연구센터 (NRF-2016S1A3A2924944),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편 성

개최인사

김성진(서울대 경제학부 초빙교수)
주병기(서울대 분배정의연구센터 대표)

기조발제 [03:10-04:30]

사회자: 이봉주(서울대, 사회복지)

The End of Egalitarian Growth in Korea: Rising Inequality and Stagnant Growth after the 1997 Crisis,
이강국 교수(리츠메이칸대, 일본) 발표.

한국의 소득불평등 심화 원인에 대한 탐색,
강신욱 박사(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발표.

종합토론 [04:40-05:30]

사회자: 이우진(고려대, 경제)

토론진: 강창희(중앙대, 경제), 김안나(대구가톨릭대, 사회복지), 박정민(서울대, 사회복지), 이정민(서울대, 경제), 홍석철(서울대, 경제)

석식

댓글

  1. 불평등이 화두가 된 시대에 한국에서도 이런 노력들이 발전되고 있다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오랜만에 선후배들 얼굴도 보고 코멘트와 토론도 열띠게 이어졌다. 하나의 중요한 쟁점은 역시 90년대 중반 이후 급속히 심화된 불평등의 원인에 관한 것이다. 90년대 이후 나타난 경제개방과 산업구조의 연속적인 변화를 강조하는 시각과 노동시장을 포함한 97년 위기 이후의 제도와 역관계의 변화를 강조하는 관점이 대립된다.(즉 97년 위기 전후에 질적인 변화가 있었는지 그렇다면 그것은 무엇인지 하는 것)
    또하나의 흥미로운 논점은 2009년 이후 나타나고 있는 불평등의 개선추세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하는 것.(물론 2016년에는 경기둔화와 함께 저소득층의 소득이 크게 줄어들고 5분위배율도 높아져서, 불평등이 다시 악화되고 있지만.) 가처분소득 기준 불평등이 개선되어 정부의 복지지출이 효과가 있는 것이 분명하지만, 1인 가구 포함 시장소득 불평등은 개선되지 않아서 가구의 특성변화(가난한 노령 1인가구 증가 등)에도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사실 최근 몇 년간은 소득불평등 뿐 아니라 기능적 소득분배의 변화도 무척 흥미로운데, 아래 그림이 보여주듯 글로벌 금융위기로 뚝 떨어졌던 노동소득분배율도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물론 97년 위기 이전에 비해서는 여전히 크게 낮은 수준이지만) 이러한 변화는 물론 노동생산성 상승에 비해 실질임금 상승률이 높았기 때문인데, 이는 97년과 2008년 위기를 거치며 나타난 추세와는 반대경향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어떻게 측정을 하더라도(국민계정 데이터를 사용하든 한국노동생산성본부의 데이터를 사용하든) 특히 제조업의 노동생산성 상승률 자체가 급속히 하락하여 최근 몇 년간 거의 1%-0%대라는 점이다.(그러고 보면 미국에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듯이 투자정체든 기술혁신 둔화든 아니면 측정문제든 한국도 노동생산성 상승률의 하락에 관해 더 많은 고민과 연구가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기업경영분석을 보면, 2014년 제조업의 매출액 증가율이 -1.6%로 사상 최초로 마이너스였고 2015년은 -3%였음을 고려하면 이해할 만도 하다. 즉, 심각한 경기둔화로 기업부문의 노동생산성 상승률이 급락한 것이(상대적으로 고용조정은 급속히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에) 위와 같은 변화의 중요한 이유로 보인다. 기업도 가만 있을 수는 없으니 앞으로 여기저기 감원과 명예퇴직 등의 이야기가 분명 더 많이 나올 것이다.
    아무튼 이런 이유들로, 75년에서 97년까지는 기업부문과 가계부문의 처분가능소득의 성장률이 거의 비슷하지만, 많이들 이야기되었듯 99년에서 2010년까지는 기업이 21.3% 가계는 5.6%로 격차가 확대되었다. 하지만 2010년에서 2015년까지는 기업이 약 0% 가계는 약 4.8%로 다시 역전되었다. 급락한 노동소득분배율이 회복되려면 이런 추세가 지속되어야 하지만 쉽지는 않을 테고, 앞으로는 어찌 될 것인지 그리고 그것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자못 궁금하다.
    함께 발표했던 보건사회연구원의 강신욱 박사님은 존경하는 선배. 1999년과 2009년의 마이크로 데이터를 사용한 그의 발표는 가구주의 종사상지위가 그 기간 사이의 가구소득 불평등 증가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고 보고했다. 10여 년전 밀라노비치 교수와 함께 보건사회연구원에서 세계화와 소득불평등이라는 프로젝트를 한 적이 있어서 더욱 반가왔다.
    참, 올해 초 나온 밀라노비치의 Global Inequality는 내년 1월 한국에서 ‘우울한 코끼리의 시대’라는 제목으로 번역출판될 예정이라는 소식. 밀라노비치는 성장과 불평등의 관계가 역 U자의 쿠즈네츠 곡선이 아니라 쿠즈네츠 사이클을 보인다고 주장하는데. 악화된 불평등을 개선시키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역시 정치적 요인이라고 강조한다.
    ‘더 이상의 불평등은 참을 수 없다’라고 많은 이들이 생각하고 행동한다면 불평등이 완화된다는 것인데, 한국에서 2009년 이후 (특히 가처분 소득 기준으로) 불평등이 개선되고 있는 현실도 이와 관계가 있는 것일까?

    답글삭제
    답글
    1. 이 글은 이강국교수가 주병기의 소셜네트워크(facebook) 계정에 남긴 후기입니다.

      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경제와정의포럼] 정치경제철학 특별포럼: 장하준과 피케티의 경제발전과 불평등

 [경제와정의포럼] 정치경제철학 특별포럼 장하준과 피케티의 경제발전과 불평등 일시: 2024년 9월 3일 오후 3:00-6:00 장소: 서울대 중앙도서관 관정관 양두석홀  온라인: https://snu-ac-kr.zoom.us/j/8347538162 주최: 경제와정의포럼(서울대 분배정의연구센터) 서울대 연합전공 정치경제철학연합 한국사회과학회 프로그램 전체사회: 한재준(인하대) 개최사: 주병기(경제연구소 분배정의연구센터장) 축사: 김성진(전해수부장관) [제1부, 15:20 - 16:50] 사회: 한재준(인하대) 한국의 경제발전과 불평등 by 장하준(SOAS 런던대) [패널토론]  좌장: 송수영(중앙대) 패널: 고길곤(서울대), 손종칠(한국외대)  [제2부, 17:00-18:00] 사회: 유종성(연세대) Global inequality and redistribution: A histo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 by 토마스 피케티(파리경제대) [패널토론] 좌장: 유종성(연세대) 패널: 주병기(서울대), 하은영(Eunyoung Ha, California State University, Sacramento)

<애덤 스미스 경제학, 자연적 자유와 정의> 발간 기념 [정치경제철학 워크숍] 국가는 왜 번영하는가

   <애덤 스미스 경제학, 자연적 자유와 정의> 발간 기념 [정치경제철학 워크숍] 국가는 왜 번영하는가 일시: 2025년 4월 4일 금요일, 오후 01:20-04:40 장소: 223동[우석경제관] 405호 온라인 줌주소 https://snu-ac-kr.zoom.us/j/8347538162 주최: 서울대학교 분배정의연구센터, 서울대학교 연합전공 정치경제철학 [프로그램] 축사: 이근 교수(한국경제학회장) 환영사: 김영식 교수(서울대) 사회: 신호철 박사(서울대) Session I [13:30-14:30] 기조 강연 애덤 스미스 경제학: Humanomics와 정치철학의 관점  by 김광수 교수(성균관대) Q&A Floor Break Session II [14:40-16:40] 주제발표   좌장: 이명헌 교수 (인천대) 1. 애덤 스미스의 법 경제학 by 김자봉 선임연구위원 (한국금융연구원) 2. 애덤 스미스가 한국에 온다면: 정부와 재정 이야기 by 류덕현 교수(중앙대) 3.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현대 경제학 vs. 애덤 스미스 by 주병기 교수(서울대) 종합토론 좌장: 홍기현 명예교수(서울대) 김진방 교수(인하대) 주동률 교수(한림대) 최정규 교수(경북대) *자료집: 다운로드

[동반성장 공동심포지엄] 함께 성장하고 공정하게 분배하는 한국경제 : 동반성장의 정책과 전략

   [동반성장 공동심포지엄]  함께 성장하고 공정하게 분배하는 한국경제 : 동반성장의 정책과 전략 *행사사진 보기 *행사영상 보기 - 일시 : 2025년 3월 28일 (금) 오후 3:00 ~ 6:00 - 장소 : 은행회관 14층 세미나실   주제 : 함께 성장하고 공정하게 분배하는 한국경제: 동반성장의 정책과 전략 개회사: 김자봉 (은행법학회 회장) 축사:  주병기 (서울대학교 분배정의연구센터장) 인사말 : 정운찬 (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 진행사회 : 홍정민 변호사 (법무법인 여울 발제   1. 성장전략으로서의 동반성장 - 하준경 (한양대)   2. 기술탈취 방지와 이익공유제 - 강경훈 (동국대) & 김영식(서울대)   3. 정의로운 전환 - 주병기 (서울대)   4. 동반성장과 법제도 - 김자봉 (금융연구원) & 최승필 (한국외대) 종합토론   - 좌장: 김진일 (고려대)   - 패널: 강형구(한양대), 김희삼(광주과기대), 박희경(재단법인 경청),             이동주(중소벤처기업연구원, 조성익(KDI) 주최  : 동반성장연구소, 은행법학회, 서울대분배정의연구센터 *자료집 다운로드 (클릭)